전산회계 용어 정리

회계상 거래 : 손익을 기준으로 평가

신입사원이 입사하였다 X

계약서를 작성하였다 X

돈을 받고 상품을 판매하였다 O

화재로 상품이 소실되었다 O

거래의 8요소

자산 + 자산 - 부채 - 부채 + 자본 - 자본 + 비용 수익 당기순이익 = 총수익 - 총비용

기말자본금 - 기초자본금 = 수익 - 비용

계정과목

비유동부채(상환기한이 1년 이상인 계정) : 예수금, 장기차입금, 사채, 퇴직급여충당부채 등

비슷한 이름의 계정 사용목적 구분

예수금 : 금전 반환을 목적으로 따로 빼놓는 돈. 주로 세금에 활용 예) 4대 보험 (차) 급여 200만원 (대) 현금 180만원 예수금(소득세 원천징수) 20만원 선수금 : 상품재화에 대한 계약금으로 미리 받는 돈 <-> 선급금(금전채권이 아니므로 대손충당금 설정 불가) : 1년 이내 비용 (보험료, 임차료, 지급이자, 수선비 등) 선수수익 : 기한이 도래하지 않은 수익금 <-> 선수비용 가지급금 : 무슨 명목으로 나가는 지 모를 때(처리 계정 미정) 임시로 입력 <-> 가수금 퇴직급여충당부채 : 입사일이 1년 지난 직원의 퇴직일을 예상하여 퇴직급여를 적립. 퇴직급여 지급액을 충당하기 위함

수도세, 전기세, 가스비 => 수도광열비 계정으로 처리

비유동자산(체류기한이 1년 이상인 계정) : 채권, 주식, 임대보증금, 연구개발비 등

비슷한 이름의 계정 사용목적 구분

미수금 : 영업 이외 임시 거래에서 발생하는 금전채권 (토지, 증권) <-> 미지급금 외상매출금 : 영업 거래 후 후불결제하는 매출채권. 지급기한이 없고 이자가 없다. <-> 외상매입금

재무제표

재무상태표(구. 대차대조표) : 특정 시점의 재무상태를 나타냄 손익계산서 : 일정 기간 동안의 경영성과 재무상태표

자산 부채(빚) 자본(순재산) 기말자산 - 기초자산 = 순자산

손익계산서 구조

과목 금액 매출액 500,000 매출원가 200,000 매출총이익 300,000 판매관리비 100,000 영업이익(손실) 200,000 영업외수익 50,000 영업외비용 10,000 금융수익 100,000 금융원가 40,000 법인세차감전순이익(경상이익) 300,000 법인세비용 30,000 당기순이익(손실) 270,000